1. 워드프레스 밖에 모른다.
사이트가 자동차라면 워드프레스는 엔진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엔진만 알아서는 좋은 차를 만들 수 없습니다. 다른 다양한 부품 뿐 아니라 자동차의 용도, 운전자의 습관, 도로 환경 등 다양한 요소를 알아야 합니다. 워드프레스도 마찬가지죠. 워드프레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워드프레스를 둘러싼 다양한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무엇 보다 웹의 동작 구조 자체를 이해해야 합니다. 이에 더해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DXP(Digital Experience Platform), OAS(Open Adoption Software) 등 관련 솔루션의 개념도 알아야 하죠. 예를 들어 카테고리와 태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위계적(hierarchical), 리좀(rhizome), 주제 기반(Theme-based) 등 정보설계의 택소노미(Taxonomy)의 개념 그 자체를 이해해야 합니다.
2. 워드프레스의 동작 방식을 모른다.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많이 만들었다고 워드프레스 전문가가 되는 건 아닙니다. 워드프레스의 동작 구조를 이해해야 합니다. 동작 구조를 이해하지 않고 하우투(Howto)만 알고 있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아래는 제가 실제로 겪거나 웹페이지에서 본 사례입니다.
저는 워드프레스 플러그인도 수정할 수 있습니다.– 모 워드프레스 개발자 –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은 거의 모든 경우 수정할 필요가 없고, 원칙적으로 수정하면 안 됩니다.
Newspaper는 뉴스, 매거진, 블로그 사이트에 적합한 인기 워드프레스 테마 중 하나입니다.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나열하고 싶은 경우 이 테마가 유용한 것 같습니다.– 모 워드프레스 블로그
Newspaper는 테마와 플러그인이 사실상 함께 동작하는 편법 테마에 가깝습니다. 테마를 변경하면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잘못된 정보에서 출발한다.
잘못된 정보에서 워드프레스를 시작한 분들이 많습니다.
4. 뛰어난 리소스를 써본 적이 없다.
상용(Commercial) 사이트에 적합한 리소스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워드프레스 전문가(?)는 해당 리소스를 구매해 사용해본 적이 없는 분들입니다. 덕분에 상용에 부적합한 리소스에 대한 추천과 컨텐트가 넘쳐납니다.
부적합 리소스 | 상용 서비스에 적합한 리소스 | |
---|---|---|
테마 | Avada (69달러 / 영구) | GeneratePress Premium (59달러 / 연간) |
페이지 빌더 | Elementor | 내장 블록 에디터 + 블록 수트 |
LMS 플러그인 | LearnPress (무료) | LearnDash (199달러 / 연간) |
폼 플러그인 | Contact Form 7 (무료) | Gravity Forms (59달러 ~ / 연간) |
5. 복잡한 사이트 제작 경험이 없다.
워드프레스로 복잡한 사이트를 제작한 경험이 있는 분들이 많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홈페이지, 쇼핑몰, 웹진 정도의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이런 서비스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숙련도가 필요하지만, 일종의 편법으로도 어느 정도 구현은 가능합니다.
반대로 디지털 컨텐트 마켓, 데이터 서비스, 마켓플레이스 등 높은 수준의 기능과 커스터마이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편법 방식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이런 경험을 가진 분들은 거의 없습니다. 만약 앞서 언급한 서비스를 테마로 구현했다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겁니다.
6. 기술 트렌드에 무지하다.
IT 기술은 다른 분야에 비해 변화가 빠른 곳입니다. 워드프레스도 예외가 아닙니다. 워드프레스는 코어는 검증된 기술을 다소 보수적으로 반영하지만, 그 속도가 결코 느리지 않습니다. 게다가 수 많은 개발사들이 새로운 제품을 내놓고 있어, 어제는 좋았던 방식이 오늘은 구식일 수 있습니다.
반면 기술 트렌드를 모르거나 기술 수용성이 떨어지는 경우 과거의 방식을 고집하게 됩니다. 아직도 Elementor나 Divi Builder를 고집하는 분들도 있고, 심지어 2024년에 Visual Composer를 쓰는 전문가(?)도 있습니다.